2025 Graduation Portfolio

성곽 아래, 선을 넘어서다 - 우수상

박은서 EUNSEO PARK

성곽 아래, 선을 넘어서다

Through the Seam

박은서 EUNSEO PARK
qkrdmstj1212@naver.com

파편화된 과거의 흔적과 도시 사이의 경계에 대한 고민을 담다.

건축과 도시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해 간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건축 은 사라지거나, 흔적으로 남거나, 도시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파편화되기도 한다. 한양도성은 조선시대 한양의 경계를 나누고 보호하기 위해 축성된 성 곽이지만, 도시가 확장하면서 이제는 그 중심에 위치하게 되었다. 그 중 낙산구간은 이화동/충신동과 창신동을 나누고 빽빽한 건물들 사이로 도시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프로젝트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한 성곽의 역할과 보존/복원 과정에서 만들어진 이질적인 경계를 인식해 도시와 성곽 사이를 이어주기 위한 건축적 제안을 담는다.

; 도성을 복원하며 만들어진 경계
낙산의 성곽은 복원사업과 녹지공간 확보를 위해 건물들이 철거되고 지금의 낙산 성곽길이 되었다. 그 자리에는 성곽길과 경사지를 지지하기 위한 옹벽들이 자리잡고 있다. 성곽이라는 역사적인 흔적이 오로지 보존되어야 할 요소로 여겨지며 만들어진 이질적인 경계는 창신동과 충신동/이화동을 단절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경계를 넘어서다
창신동 방향 순성길의 뒷채움과 옹벽은 역사적인 공간을 파편화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 경계가 일으키는 도시의 단절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선을 넘는 것’을 떠올렸다. 창신동과 성곽을 단절하는 뒷채움(Supporting wall)과 옹벽(Retaining wall)을 깨고 들어가 닫힌 경계를 열어주고 두 도시를 이어주 는 공간을 만들었다. 배경으로만 작용했던 성곽이라는 흔적을 일상 안에서 누리게 하고자 했다.

; 단절의 경계에서 머무름으로
성곽이라는 역사적인 흔적을 존중하며 도시의 단절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관통’을 상상했다. 성곽을 건들이지 않기 위 해 성곽의 기초보다 낮은 레벨의 공간을 만들어 이화동과 창신동을 이어주었다. 주택가의 골목과 연결시켜 경계를 넘어 다니며 성곽이 주는 다른 풍경을 경험하는 공간을 만들었다.

; 성곽의 흐름을 받아주다
더이상 구조적인 역할이 필요하지 않게 된 뒷채움과 벽은 허물지 않고 건물의 흐름과 이어지거나 공간 안으로 사람들의 시선이나 동선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로 작용하도록 했다. 높은 옹벽은 단절의 요소이지만 성곽을 따라 흥인지문부터 낙산공원 전망대까지 이어지면서 도시적인 스케일에서는 한양도성의 흐름이 강조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흐름을 건물이 받아주는 것이 한양도성이라는 특징적인 대지에 필요한 태도라 생각했다.

Work Detail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