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Graduation Portfolio

RE-PLAY : JAEDONG

양명석 YANG MYEONG SEOK

RE-PLAY : JAEDONG

재동초등학교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양명석 YANG MYEONG SEOK
dprtmwhrx123@naver.com

아이들에게 학교를 놀이와 발견, 다양한 학습이 공존하는 장소로 재구성

오늘날 학교는 더 이상 지식 전달만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사회적 변화와 교육적 패러다임의 전환은 학교가 아이들의 창의성과 감성을 함양하고, 나아가 공동체적 관계 형성을 지원하는 장으로 변화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학교는 교실과 복도, 운동장으로 획일화된 공간 구성을 유지하며, 학습과 놀이가 분리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과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데 한계를 드러낸다.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놀이를 통한 학습”이라는 주제를 건축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교 공간을 재해석함으로써 아이들이 보다 자유롭고 풍부한 경험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제안하였다. 우선, 기존에 단절되어 있던 교실과 운동장은 전이 공간을 도입하여 서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아이들이 배움과 놀이를 자연스럽게 오가도록 유도한다. 지하층은 단순한 보조공간이 아니라 외부와 연결되는 다양한 진입 지점으로 개방되어, 학교와 지역 사이의 경계를 완화하고 열린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옥상층은 하나의 대형 매스를 분절하여 여러 개의 작은 볼륨으로 나누고, 그 사이 공간을 테라스와 휴식 공간으로 활용한다. 이는 학생들에게 기존의 운동장과는 다른 차원의 놀이와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며, 도시 맥락 속에서 학교를 열린 공공적 장소로 재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교실 중심의 학습 구조는 다양한 놀이와 체험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공간으로 확장된다. 벽과 축대처럼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하던 요소들은 지역과 학교를 연결하는 복도이자 상호작용의 축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공간적 재구성은 학교를 단순한 교육 시설이 아닌, 아이들이 삶의 일부로 경험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꾼다. 학습과 놀이가 분리되지 않고 서로 맞물리며 이루어지는 이 과정 속에서, 학교는 더 이상 고립된 기관이 아니라 지역과 연결된 열린 장으로 작동한다. 본 프로젝트는 변화하는 시대에 맞추어 학교가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Work Detail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